부동산 기초 개념인 실거래가, 호가, 복비, 임장 등의 개념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실거래가의 개념은 무엇인가?
실거래가라는 개념은 말 그대로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실거래가 확인 방법은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가능합니다.
부동산 실거래가를 검색해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페이지에 접속이 가능하며, 연도별, 단지별, 지역별 실거래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아파트 명을 모르겠을 때는 주소 검색을 통해 지도에 표기된 단지를 확인하여 실거래가를 볼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도 호갱 노노, 아실, 네이버 부동산 등에서도 실거래가 확인이 가능합니다.
호가란 무엇인가?
호가는 팔거나 사려는 물건 값을 부름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부르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만약에 내가 어떤 물건을 당근 마켓에 만원에 내놓았다고 하면 이 만원이라는 금액을 호가라고 부르게 되는 것입니다.
부동산에 매도자인 집주인이 어제는 8억에 집을 올렸다가 다음 날 10억으로 내놓게 되면 하루 만에 호가가 2억이 올랐다고 말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호가는 말그대로 부르는 게 값인 것이니 호가에 휘둘리기보다는 실거래가를 확인하며 차분하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 절차가 되겠습니다.
복비란 무엇인가?
부동산 거래를 할 때 중개인(대부분 공인중개사)에게 거래를 진행해주는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입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라고 부르며, 공인중개사들에게 보수로 지급되는 돈입니다.
중개수수료 계산은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검색하면 간단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계산기가 나옵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매물의 종류, 거래지역, 거래 금액, 거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잘 확인하고 계산해야 합니다.
협의 보수율의 경우 상한요율보다 낮은 값만 입력이 되는데, 협의를 상한 요율보다 높게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협의 보수율은 복비를 기준인 0.4%보다 낮은 0.3%를 했다는 식이 됩니다.
임장이란 무엇인가?
임장의 사전적의미는 어떤 일이나 문제가 발생한 현장에 가는 것을 의미하는데, 부동산 임장은 단순히 집을 보러 방문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부동산의 주변환경, 학교, 제반시설 등 인프라와 입지, 분위기 등 전반적인 것들을 확인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부동산 임장은 튼튼한 몸과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본인만의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파악을 해야 하며, 지도를 통해 미리 거리뷰를 봐 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어느 곳이 지역의 대장 아파트인지, 지하철역이나 버스는 얼마나 멀리 위치하는지, 마트, 학교 등은 잘 갖추어져 있는지 얼마나 많은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지, 호가나 시세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등 다양한 관점에서 확인 또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국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면적과 기준 비용, 건축에 관한 용어 정리 (0) | 2021.12.31 |
---|---|
2003년 이후 노무현 참여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한 평가 정리 (0) | 2021.12.31 |
집 구하기 전 꼭 알아야 할 부동산 기초용어 정리 (0) | 2021.12.28 |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주요 정책 내용과 효과 정리 (0) | 2021.12.20 |
문재인 정부의 2017년 8.2 부동산 대책 쟁점 정리 (0) | 2021.12.19 |
댓글